백제에 병합되지 않고 6세기 중엽까지 독자적인 문화유적지
독특한 묘제인 대형 옹관과 추가장 형태의 무덤양식
[나주 복암리 3호분]
무덤 속 41개의 다양한 형태 매장시설 확인
(독널 23기, 구덩식돌덧널 4기, 굴식돌방 13기, 목관 1기)
[함평 금산리 방대형 고분]
우리나라 최초 사람 · 동물형상 토제품(일본계), 청자편(중국계) 출토
새로운 묘제양식인 ‘방형 단축(段築)’ 즙석분(葺石墳)
※ 즙석 : 고분 외면에 작은 석재의 돌을 쌓은 고분
금동관, 금동신발, 고리자루큰칼.금귀걸이, 곱은옥 등 부장
부장품은 삼국·가야의 양상이 모두 반영된 위세품 사용
마한은 단순한 지역 연명체가 아닌 4국과 동등한 '고대국가'
※ 모관 : 백제의 영향 / 대관 : 신라·가야의 영향
해상교류의 물길, 마한으로 통하다
한·중·일 해상 교류 거점지로서 중국문화 수용, 일본에 선진문화 전파
중국과의 교류
[해남 군곡리 패층]
[장흥 평화리유적]
[고흥 야막고분]
일번과의 교류
[고흥 길두리 안동고분]
[고흥 야막 고분]
[영암 내동리 쌍무덤]
[해남 만의총 1호분]
삼국과의 교류
[신라(동물형 토기)]
[가야(뚜껑형 토기)]
[백제(곱은옥, 구술류)]